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 & 복지혜택

K패스·경기패스·기후동행 혜택 비교

by infornotes 2025. 8. 4.

 

K패스·경기패스·기후동행 혜택 비교

K패스, 경기패스, 기후동행카드 혜택 비교 일러스트 썸네일

교통비 절약 정보, 아래 추천도 참고해보세요

목차

 

교통비 부담, 진짜 줄일 수 있을까?

2025년 현재 교통비는 생활비 중 상당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환급형·정액형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그중에서도 K패스, 경기패스, 기후동행카드는 핵심 정책이라 할 수 있죠.

K패스란?

국토부가 시행하는 전국형 교통비 환급제도입니다. 만 19세 이상 청년 및 저소득층이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53%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특정 카드사를 통해 신청 가능하며, 지역 제약 없이 전국 어디서나 사용 가능합니다.

경기패스란?

경기도가 운영하는 정액형 교통비 지원 제도로, K패스와 연계됩니다. 월 6만 원 정액 납부 시 일정 금액 이상 환급되고, 초과 시 K패스 환급으로 연동되며 무제한 환급이 가능합니다. 경기도민 전용입니다.

기후동행카드란?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월 6만5천원 정액제 교통 패스로, 버스·지하철·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문화·체육시설 할인 혜택도 제공되며, 정액제로 환급은 없지만 활용도는 높습니다.

사용자 경험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3종 비교표

항목 K패스 경기패스 기후동행카드
운영 주체 국토교통부 경기도청 서울특별시
형태 환급형 정액+환급형 정액 무제한
지원 대상 청년/저소득층 경기도민 (19세 이상) 서울 거주자
지원 방식 카드사 통해 월 환급 정액 결제 후 추가 환급 정액 결제 후 무제한 이용
대표 혜택 최대 53% 환급 월 6만 납부, 환급 연동 버스·지하철·따릉이 무제한

어떤 카드가 유리할까?

교통비가 월 6만5천원이상 나오며, 서울에서 따릉이를 자주 이용한다면 기후동행카드가 가장 유리합니다. 경기도민이면서 교통비가 약 월6만원 나오며 대중교통을 자주 탄다면 경기패스가 유리하고, 비수도권자 및 전국에서 혜택받고 싶다면 K패스가 적합합니다.

신청 방법

각 제도는 다음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K패스: 참여 카드사 앱 (신한, 하나, KB 등)
  • 경기패스: 경기도청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신청
  • 기후동행카드: 서울시 교통 홈페이지, 따릉이 앱 등

FAQ

Q. K패스와 경기패스는 중복 적용되나요?
경기패스는 K패스와 일부 연동됩니다. 경기패스로 정액 환급을 받고, 초과 사용분은 K패스에서 환급 가능합니다.

Q. 기후동행카드는 어떤 연령대가 많이 쓰나요?
따릉이 사용량이 많은 2030세대에게 인기가 높으며, 실거주 서울 시민 중심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Q. 카드사에 따라 혜택 차이가 있나요?
있습니다. 예: 신한카드는 대중교통 연계 적립이 크고, 하나카드는 부가 교통보험이 포함되기도 합니다.

Q. 환급은 언제, 어떻게 받나요?
매월 말일 기준 사용액 계산 후, 다음 달 중순~말 사이에 카드 결제대금에서 차감 또는 포인트 환급됩니다.

 

요약

본인의 지역, 생활패턴, 이용 교통수단에 따라 가장 유리한 카드는 달라집니다.

 

📌 본 정보는 2025년 8월 기준입니다.

교통비 혜택, 카드사 별 혜택도 살펴보세요